![]() |
세종소방본부(본부장 박태원)는 소방청이 평가한 2024년 ‘심정지 환자 자발순환 회복률’ 부문에서 2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했다고 1월 19일 밝혔다.
자발순환 회복률은 구급대원의 전문 응급처치로 병원 도착 전 심정지 환자의 심장이 소생된 비율이다.
세종소방은 지난해 심정지 환자 131명 중 28명을 소생시켜 21.37%의 자발순환 회복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10.9%를 크게 웃돌고 전년도 전국 1위를 차지했던 자발순환 회복률 19.6%보다 향상된 수치다.
세종소방은 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각종 개선책을 수립ㆍ시행해 왔다.
먼저 구급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조치원(원리)ㆍ금남ㆍ장군 지역에 3대의 구급차를 추가 배치했다.
또 구급차의 현장 도착이 지연될 경우 구급장비를 탑재한 펌프차가 먼저 출동해 응급처치할 수 있는 펌뷸런스를 운영토록 했다. 중증응급환자의 처치ㆍ이송을 전담하는 특별구급차 4대도 편성했다.
2017년 40%에 불과했던 구급차 3인 탑승률을 지난해까지 100%로 끌어올려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대원들의 전문 처치가 원활하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구급대원이 지도의사의 의료 지도를 통해 심정지 환자에게 강심제(에피네프린)를 직접 투여하게 하는 등 처치 범위를 확대했다.
박태원 본부장은 “심정지 환자의 예후와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최초 신고자 또는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가장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신고자에 대한 영상 응급처치 안내와 구급대원의 현장대응 능력을 강화해 중증응급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재우 기자 wampc@fpn119.co.kr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25년 3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소방방재신문 (http://www.fpn119.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EST 119 관련기사